
최근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 빠르게 디지털화되면서, AI 면접이 채용 초기 단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 하지만 공정성 측면에서 논란이 되거나 아직은 100% AI에 의존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인식이 많아 이를 보완하기 위해 2차 대면 면접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경우 많은 구직자들은 AI 면접에서 1차 합격한 후 곧바로 대면 면접을 준비하게 되는데, 이 두 면접은 방식부터 평가 기준까지 크게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전략으로 접근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. AI 면접은 정량적 평가 중심이며, 응시자의 말투, 시선 처리, 목소리 톤 등 시각적·청각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판단하는 반면, 대면 면접은 질문의 유동성이 크고 사람의 감정과 분위기, 맥락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..